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생성형 인공지능 개발·활용 위한 개인정보 처리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생성형 인공지능 개발·활용 위한 개인정보 처리

  • 생성형 인공지능(AI)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 주요 내용  하단내용 참조
  • 생성형 인공지능(AI)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 주요 내용  하단내용 참조
  • 생성형 인공지능(AI)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 주요 내용 생성형 인공지능(AI)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 주요 내용  하단내용 참조
  • 생성형 인공지능(AI)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 주요 내용  하단내용 참조

■ 생성형 인공지능 (AI) 개발·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 주요 내용 공유
개인정보위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수명주기 각 단계에서 개인정보 처리 및 보호를 위해 고려해야할 적법성·안전성 확보 기준 등을 소개하여 현장의 법적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생성형 인공지능 개발·활용에 개인정보 보호 관점이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안내서에 대해 논의했다.

■ 생성형 인공지능 (AI) 개발·활용 단계별 고려 사항
(목적 설정)
· 목적 적합성, 최소수집 원칙 등 고려, 적법근거 확보.
· 수집 출처별 처리근거 검토사항 안내.

(전략 수립)
· 개인정보 안심설계(PBD) 위한 개인정보 영향평가 실시.

(AI 학습 및 개발)
· (데이터) 출처 검증, 전처리, 가명·익명처리 등.
· (모델) 미세조정, 정렬 등 안전장치 추가.
(시스템) 접근권한 통제, 입출력 필터링 적용.

(시스템 적용 및 관리)
· 배포 전 테스트, 허용되는 이용방침(AUP) 작성·공개.
· 정보주체 권리 보장 방안 마련, 상세한 처리방침 공개 등 투명성 확보.

(AI 프라이버시 거버넌스 구축)
· (구성) 개인정보 보호책임자(CPO) 중심의 내부관리체계 구성.
· (역할)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정책 마련·문서화, 취약점 상시 모니터링·평가 및 보고, 권리행사 지원.

■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 지원 및 합리적이고 유연한 정책 설계 기반 마련
"앞으로도 개인정보위는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과 민간에 축적된 고가치 데이터가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나아가 사회·경제적으로 '최적' 활용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유연한 정책 설계 노력을 지속하고 관련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 라고 밝혔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