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벼멸구 예방을 위한 농업인 준수사항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벼멸구 예방을 위한 농업인 준수사항

  • 벼멸구 예방을 위한 농업인 준수사항 하단내용 참조
  • 벼멸구 예방을 위한 농업인 준수사항 하단내용 참조
  • 벼멸구 예방을 위한 농업인 준수사항 하단내용 참조
  • 벼멸구 예방을 위한 농업인 준수사항 하단내용 참조
  • 벼멸구 예방을 위한 농업인 준수사항 하단내용 참조
  • 벼멸구 예방을 위한 농업인 준수사항 하단내용 참조
  • 벼멸구 예방을 위한 농업인 준수사항 하단내용 참조

■ 벼멸구 예찰방제 매뉴얼①
· 벼멸구란?
- 6월 중하순부터 7월 중하순에 중국으로부터 기류를 타고 비래.
- 정착한 벼멸구가 산란하여 벼를 흡즙.
- 벼 수확 후 월동 불가.

■ 벼멸구 예찰방제 매뉴얼②
· 피해증상은?
- 벼 밑동에서 서식하며 흡즙하여 벼의 생육 위축.
- 벼의 천립중과 등숙률에 영향을 주어 수량을 감소.
*집단고사: 벼멸구 흡즙으로 벼가 둥근멍석모양으로 말라 죽게 되는 현상.

■ 벼멸구 예찰방제 매뉴얼③
· 예찰방법은?
- '7월 중순'이 벼멸구 예찰·방제 여부 판단 분기점(지난 6월 중순경 남부 지역 일부로 날아온 벼멸구가 성충이 되는 시기).
- 벼 포장 내 밀도 조사(최근 낮 기온 상승으로 세대 증식 빨라질 우려).
- 볏대를 열고 벼 아랫부분 밑동을 자세히 점검.

■ 벼멸구 예찰방제 매뉴얼④
· 방제적기?
- 벼멸구 발생 밀도를 기준으로 판단.
(포기당 2마리 이상의 약충이나 성충이 보이면 본격 방제 실시)
1차: 7월 하순~ 8월 상순.
2차: 8월 중하순.
3차: 9월 초중순(추가 방제가 필요한 경우).

- 비래한 벼멸구가 산란한 알이 부화하거나 제1세대가 형성되는 시기.
- 볏대 아래까지 약액이 묻을 수 있도록 충분하게 약제를 살포.

■ 벼멸구 예찰방제 매뉴얼⑤
· 방제방법은?
- 반드시 등록 약제 사용(작용기작이 다른 계통을 번갈아 가며 기온이 낮고 바람이 약한 아침 시간대에 살포).

· 출수전(7~8월 상순) 항공방제
드론 용량이 클수록, 살포 물량이 많을수록 부착 정도가 높음.

· 출수 후(8월 중순~) 광역방제기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출수기 이후 광역방제기 활용.

· 방제 후 추가방제
방제 후 주기적 발생 밀도 점검을 하며, 필요에 따라 추가 방제.

벼멸구발생 시 발생 밀도를 조사하고 신고하세요!
시·군 농업기술센터 + 전국 병해충 신고 대표전화: ☎1833-857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