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지자체 적극행정 종합평가 우수사례

2024년 지자체 적극행정 종합평가 우수사례

2024년 지자체 적극행정 종합평가 우수사례

2024년 지자체 적극행정 종합평가 우수사례

2024년 지자체 적극행정 종합평가 우수사례

2024년 지자체 적극행정 종합평가 우수사례

2024년 지자체 적극행정 종합평가 우수사례

■ 전국 최초, 소상공인 반값 택배 지원사업 - 인천광역시
(기존)
급증하는 온라인 소비에 대응해야 하는 소상공인의 택배비 부담으로 '23년 자영업자 폐업률 전국 1위
(개선)
인천 지하철 역사에 집하센터를 설치하여 지하철로 택배를 배송하는 지원사업으로 소상공인의 물류 경쟁력 강화 및 비용 절감
■ 수원형 마을 통합 서비스 제공으로 틈새 돌봄 공백 해소 - 경기도 수원시
(기존)
인구 고령화 및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돌봄의 사회화" 필요
돌봄 서비스 신청에서 제공까지 최대 60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어 돌봄 대상자에게 시간 공백 발생
(개선)
마을 돌봄 공동체 조성을 위해 "새빛돌보미" 운영 및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으로 빠르게 마을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돌봄 공백 해소(60일 → 10일)
■ 잠자는 폐교, 기업 유치로 깨어나다 - 전라남도 해남군
(기존)
관내 폐교가 장기간 미활용되고 있어 주민 요구 사항을 반영한 활용 방안 마련 시급
(개선)
군의회, 교육청 등 관계기관 설득과 행정재산 사용허가 적극검토를 통한 기업 투자유치 협약 체결로 기업 본사 이전 및 과수 실증단지 조성 등 투자 이행 성과
■ 전국 최초, 아파트 공동 현관 자동 개폐 시스템 구축 - 서울특별시 중구
(기존)
초동 조치의 큰 장애물 "공동 현관"
경비원이 없거나 신고자와 연락이 닿지 않아 공동 현관을 열지 못하는 경우 범죄 피해자 구호 골든타임을 놓치는 상황 발생
(개선)
경찰관이 리모컨을 활용해 아파트 공동 현관을 자동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 전국 최초 구축
■ '24년 지자체 적극행정 종합평가 우수기관(상위 30%)
△ 최우수: 4개 지자체(광역, 시, 군, 구)
- 인천광역시, 경기 수원시, 전남 해남군, 서울 중구
△ 우수: 69개 지자체 ※ 직제순 표기
· 광역(4)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 시(21)
성남시, 안양시, 부천시, 광명시, 고양시, 남양주시, 시흥시, 의왕시, 용인시, 파주시, 화성시, 포천시, 강릉시, 청주시, 천안시, 당진시, 아산시, 군산시, 정읍시, 김제시, 창원시
· 군(24)
연천군, 가평군, 홍천군, 양구군, 보은군, 옥천군, 단양군, 부여군, 서천군, 홍성군, 무주군, 장수군, 고창군, 부안군, 화순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청도군, 칠곡군, 창녕군, 경남 고성군, 하동군, 거창군
· 구(20)
서울 : 종로구·용산구·성동구·중랑구·은평구·서대문구·구로구·금천구·동작구·관악구
부산 : 동구, 대구 : 동구, 인천 : 중구·남동구·부평구, 광주 : 서구·북구, 대전 : 대덕구, 울산 : 중구·북구
■ 전국 최초, 소상공인 반값 택배 지원사업 - 인천광역시
(기존)
급증하는 온라인 소비에 대응해야 하는 소상공인의 택배비 부담으로 '23년 자영업자 폐업률 전국 1위
(개선)
인천 지하철 역사에 집하센터를 설치하여 지하철로 택배를 배송하는 지원사업으로 소상공인의 물류 경쟁력 강화 및 비용 절감
■ 수원형 마을 통합 서비스 제공으로 틈새 돌봄 공백 해소 - 경기도 수원시
(기존)
인구 고령화 및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돌봄의 사회화" 필요
돌봄 서비스 신청에서 제공까지 최대 60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어 돌봄 대상자에게 시간 공백 발생
(개선)
마을 돌봄 공동체 조성을 위해 "새빛돌보미" 운영 및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으로 빠르게 마을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돌봄 공백 해소(60일 → 10일)
■ 잠자는 폐교, 기업 유치로 깨어나다 - 전라남도 해남군
(기존)
관내 폐교가 장기간 미활용되고 있어 주민 요구 사항을 반영한 활용 방안 마련 시급
(개선)
군의회, 교육청 등 관계기관 설득과 행정재산 사용허가 적극검토를 통한 기업 투자유치 협약 체결로 기업 본사 이전 및 과수 실증단지 조성 등 투자 이행 성과
■ 전국 최초, 아파트 공동 현관 자동 개폐 시스템 구축 - 서울특별시 중구
(기존)
초동 조치의 큰 장애물 "공동 현관"
경비원이 없거나 신고자와 연락이 닿지 않아 공동 현관을 열지 못하는 경우 범죄 피해자 구호 골든타임을 놓치는 상황 발생
(개선)
경찰관이 리모컨을 활용해 아파트 공동 현관을 자동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 전국 최초 구축
■ '24년 지자체 적극행정 종합평가 우수기관(상위 30%)
△ 최우수: 4개 지자체(광역, 시, 군, 구)
- 인천광역시, 경기 수원시, 전남 해남군, 서울 중구
△ 우수: 69개 지자체 ※ 직제순 표기
· 광역(4)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 시(21)
성남시, 안양시, 부천시, 광명시, 고양시, 남양주시, 시흥시, 의왕시, 용인시, 파주시, 화성시, 포천시, 강릉시, 청주시, 천안시, 당진시, 아산시, 군산시, 정읍시, 김제시, 창원시
· 군(24)
연천군, 가평군, 홍천군, 양구군, 보은군, 옥천군, 단양군, 부여군, 서천군, 홍성군, 무주군, 장수군, 고창군, 부안군, 화순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청도군, 칠곡군, 창녕군, 경남 고성군, 하동군, 거창군
· 구(20)
서울 : 종로구·용산구·성동구·중랑구·은평구·서대문구·구로구·금천구·동작구·관악구
부산 : 동구, 대구 : 동구, 인천 : 중구·남동구·부평구, 광주 : 서구·북구, 대전 : 대덕구, 울산 : 중구·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