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2018년부터 2024년까지 과수화상병 발생에 의한 감소(폐원) 면적은 358ha로서 2018년 재배면적 대비 18.8%"라며 "과수화상병으로 인한 충북 사과 주산지 반토막 등에 대한 보도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최근 과수화상병 발생면적은 줄어드는 추세지만, 과수화상병 발생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사전 예방 체계 등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보도 내용]
ㅇ 과수화상병은 전파력이 강해 발생하면 길게는 3년까지 같은 종류의 나무를 심지 못함
ㅇ 충주 지역 사과 재배면적은 10년도 안 돼 절반으로 줄었음
[농진청 설명]
□ 농촌진흥청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수화상병으로 폐원한 사과 재배 농가의 재식 금지 기간을 단축했음
ㅇ 2022년까지 재식 금지 기간이 3년이었으나, 2023년에는 2년으로 단축했고 2025년에는 18개월로 단축했음
□ 충주시 사과 재배면적은 2018년 1,898ha에서 2025년 955ha로 943ha(50%) 감소됐음. 이 중 2018년부터 2024년까지 과수화상병 발생에 의한 감소(폐원) 면적은 358ha로서 2018년 재배면적 대비 18.8%임
□ 농촌진흥청은 올해부터 7곳의 도농업기술원을 '병해충 정밀 검사기관'으로 지정해 현장에서 신속한 과수화상병 진단과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최근 과수화상병 발생면적은 줄어드는 추세지만, 과수화상병 발생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사전 예방 체계 등을 강화하고 있음
문의: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063-238-1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