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농식품부 "벼 재배면적 조정제 목표 달성 적극 노력"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벼 재배면적 조정제는 현재 필지별 세부적인 감축면적을 시스템에 입력하는 초기 단계로, 기사에서 언급한 신청률은 최종 결과가 아니다"면서 "지자체의 시스템 입력을 최대한 독려해 신청률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4월 1일 데일리안 <쌀 수급 조절 '빈 수레 요란'…벼 재배면적 감축 목표치 20%도 못 미쳐>에 대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o 정부가 쌀 수급 조절을 위해 추진 중인 벼 재배면적 조정제가 지지부진하다.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벼 재배면적 조정제는 현재 필지별 세부적인 감축면적을 시스템에 입력하는 초기 단계로, 기사에서 언급한 신청률은 최종 결과가 아닙니다.

벼 재배면적 조정제에 참여하는 방식은 전략작물, 타작물, 친환경 인증, 자율감축(휴경), 농지이용다각화 등 5가지 유형으로 구성되며, 현재 유형별로 지원사업 신청·접수 중인 상황입니다. 각 사업의 신청기간은 전략작물 5월말, 지자체 자체 타작물 재배지원 5월말, 친환경 인증 8월말 등으로, 주요 감축 유형들이 대부분 신청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현재 단계에서 벼 재배면적 조정제 실적이 부진하다고 속단하기 어렵습니다.

지자체의 시스템 입력을 최대한 독려하여 신청률을 높여나갈 계획입니다.

농식품부는 전략작물 등 유형별 이행 프로그램 신청을 독려하고, 지자체가 감축면적을 신속히 입력할 수 있도록 점검해 나갈 계획입니다. 아울러 4월부터 지자체와 합동 점검을 통해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 식량산업과(044-201-1832)

하단 배너 영역